티스토리 뷰
목차
기준중위소득은 다양한 정부사업 및 서비스의 지원대상을 선정하는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2024년 기준중위소득을 확인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기준중위소득이란?
기준중위소득이란 모든 가구의 소득을 나열했을 때 중간에 오는 값을 말합니다. 즉, 국민가구소득의 중윗값을 뜻합니다. 기준중위소득은 매년 보건복지부 장관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고시합니다.
2023년 2024년 기준중위소득 비교
기준준중위소득은 매년 인플레이션 등의 영향을 반영하여 상승하는데 2024년은 2023년에 비해 약 6% 인상되었습니다. 꽤 높은 상승폭을 보였습니다.
< 2023년, 2024년 기준중위소득 비교표>
중위소득 | 년도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100% | 2024년 | 2,228,445 | 3,682,609 | 4,714,657 | 5,729,913 | 6,695,735 | 7,618,369 |
100% | 2023년 | 2,077,892 | 3,456,155 | 4,434,816 | 5,400,964 | 6,330,688 | 7,227,981 |
상승 금액(단위:원) | 150,553 ↑ | 226,454 ↑ | 279,841 ↑ | 328,949 ↑ | 365,047 ↑ | 390,388 ↑ |
2024년 기준중위소득
2024년 기준중위소득으로 아래 소득은 모두 세전기준입니다.
< 2024년 기준중위소득 40%, 100%, 150%, 180% 총정리 >
중위소득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40% | 891,378 | 1,473,044 | 1,885,863 | 2,291,965 | 2,678,294 | 3,047,348 |
100% | 2,228,445 | 3,682,609 | 4,714,657 | 5,729,913 | 6,695,735 | 7,618,369 |
150% | 3,342,668 | 5,523,914 | 7,071,986 | 8,594,870 | 10,043,603 | 11,427,554 |
180% | 4,011,201 | 6,628,696 | 8,486,383 | 10,313,843 | 12,052,323 | 13,713,064 |
기준중위소득은 아파트 청약, 대학 장학금 등에도 적용되는 기준이므로 매년 변경되는 자료를 확인하고, 알아두는 것이 다양한 정부사업 및 서비스에 신청하실 때 도움이 될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