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용 에너지캐시백은 주택용 전기사용자가 과거보다 일정 수준 이상 전기사용량을 줄이면 캐시백을 드리는 주거부문 에너지절감 프로그램입니다. 전력사용량이 많은 겨울과 여름에 에너지를 절감하여 지구환경도 지키고 상승한 전기료를 아끼는 좋은 제도이니 반드시 신청하셔서 캐시백 혜택 받으시길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택용 에너지캐시백 신청방법을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순서대로 따라만 오시면 쉽게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1. 한전 주택용 에너지캐시백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에너지캐시백 홈페이지 바로가기 2. 에너지캐시백 회원가입을 합니다. 3. 에너지캐시백 신청하기를 클릭합니다. 4. 주민등록주소확인을 버튼을 눌러서 고객번호를 확인하고, 필수입력사항을 기입합니다. 📍 자동으로 고객번호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 →..

청년도약계좌는 5년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납입하면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합니다. 최대 5,000만원의 목돈을 모을 수 있는 정부상품으로 2024년을 맞이하여 몇 가지 새롭게 개선되어 돌아왔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4년 개선된 점과 가입조건,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 및 혜택 1. 월 40만원 ~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납입이 가능하고, 소득 수준과 납입한 금액에 따라 차등을 두어 납입액의 3% ~ 6%의 기여금을 정부에서 지원합니다. 개인소득 월 기여금 지급한도 기여금 매칭비율 월 기여금 한도 총급여 기준 종합소득 기준 2,400만원 이하 1,600만원 이하 40만원 6.0% 2.4만원 3,600만원 이하 ..

정부지원사업은 지역 관할 주민센터(동무사무소)에서 신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 관할 주민센터를 모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분들을 위해 이번 포스팅에서는 관할 주민센터를 쉽게 찾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관할 주민센터 찾는 방법 1. 도로명 주소찾기 2. 더보기 탭에서 관할 주민센터 확인하기 3. 주민센터 검색후에 관할동이 맞는지 전화로 확인하기 1. 도로명 주소찾기에서 도로명 주소를 찾습니다. 2. 추가정보 탭에서 더보기를 클릭하면 관할주민센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확인한 주민센터 연락처로 관할 주민센터가 맞는지 전화로 확인합니다. 도로명 주소찾기 바로가기